교통/대중교통
05-2. Transit Scheduling for the Bus
neonii
2024. 7. 1. 20:42
728x90
1. trip building = trip generation
노선의 골격을 계획하는 과정: 주로 노선 상의 주요 지점에 도착하는 시간을 결정함
- 주요 입력 자료
- span of service: 각 노선 당 서비스 제공 시간 = 첫차 ~ 막차
- maximum loading point or section MLP or MLS
- headway or service frequency
- route pattern: transit line 형태
- terminal points: loop route의 경우 1개, end-to-end route의 경우 2개
- cycle time
- 기타 필요한 자료
- intermediate time points: 주요 정류장, 주로 주요 교차로, 쇼핑센터 등 주요 통행 발생 원인이 있는 곳으로 선정함
- internal time points: 버스가 제 시간에 맞춰 운행하고 있는지 운영자가 확인하기 위해 선정한 지점, time table 상에는 나타나지 않음
- controlling time points: 승객의 수요가 많은 곳 등 출발 및 도착 시간을 정해주는 지점
- relief points: 운전자 교대 지점
- timed transfer considerations: 다른 노선과의 환승
2. blocking
구축된 운행 스케줄에 차량을 배정하는 작업: 필요한 차량 수를 결정함
- 사전 작업
- master schedule 준비
- 근무조건 규정 확인
- layout time: 노사 협약에 의해 결정되는 운전자 휴식 시간, 교통 흐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주로 terminal에서 사용하도록 하지만 주요 환승 지점도 사용 대안 중 하나임
- recovery time: 예상치 못한 사건에 대비해 마련한 buffer time, 각 trip 별로 사용될 수도 있고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음
- layout 및 recovery time은 주로 10% of total round trip
- interlining: 한 대의 버스가 여러 노선 운행할 수 있도록 계획하는 것, 회사마다 횟수 및 장소에 관한 규정 있음
3. run-cutting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