데이터분석/분석 이론
퍼널 분석
neonii
2025. 3. 28. 01:44
728x90
본 내용은 데이터리안 ‘SQL 데이터 분석 캠프 실전반’을 수강하며 작성한 내용입니다.
퍼널 분석이란?
사용자들이 우리가 설계한 사용자 경험 루트를 따라 잘 도착하고 있는지 확인해 보기 위해 최초 유입부터 최종 목적지까지 단계를 나누어서 살펴보는 분석 기법
- 얼마나 자세하게 구성할지는 어떻게 정할까?
- 서비스 사용자들의 주요 행동을 기준으로 쪼갤 수 있다.
- 클릭 한번, 스크롤 한번까지 다 나누면 너무 단계가 많아지기 때문에, 버튼 클릭, 결제 진행 등 굵직한 단위로 먼저 나눠보고, 그 이후에 추가 분석이 필요한 부분을 더 세세하게 나눠서 살펴보는 것이 좋다.
- 비즈니스적 맥락이 반영되는 부분이라 실무에서는 데이터 분석가 혼자서 결정하기보다 팀 단위에서, 혹은 더 큰 조직 단위에서 의사결정권자들과 함께 결정하게 된다.
- 각각의 단계를 넘어가는 것을 전환(Conversion)이라고 부르고, 그 비율은 전환율(Conversion Rate)라고 한다.
GA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로 퍼널 분석을 한다면 알아두어야 하는 점 2가지
- 세션이란?
- GA는 세션을 '사용자가 웹사이트 또는 앱과 상호작용하는 기간'이라고 정의하며,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활동이 멈춘 후 30분까지를 한 세션으로 취급한다.
- 한 명의 사용자가 여러 개의 세션 id를 가지고 있을 수 있고, 서로 다른 사용자가 같은 세션 id를 가지고 있을 수 있기 때문에, 개별 세션 수를 세려면 사용자 id과 세션 id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.
- 스크롤 데이터는 언제 저장될까?
- GA에서 스크롤 이벤트는 기본적으로 페이지의 90% 지점까지 스크롤했을 때 저장된다.
- 커스텀해서 20% 지점, 50% 지점까지 스크롤했을 때 이벤트가 찍히도록 수정할 수 있다.
퍼널 개선하기
최종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사용자의 수를 늘리기 위해서 퍼널을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?
- 유입량을 늘린다.
- 같은 퍼널이더라도, 최초 유입을 늘리면 최종 목적지에 도달하는 사용자도 늘어날 것이다.
- 유료 광고 예산을 늘리거나 마케팅 채널을 추가로 발굴해보자!
- 각 단계 사이의 전환율을 올린다.
- 페이지 뷰 → 스크롤 전환율을 올리고자 한다면, 다음 시나리오들을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.
- 스크롤을 하지 않고 이탈한다.
- 그렇다면 가설은: 특정 마케팅 채널을 통해 도착한 사용자들이 기대한 것과 페이지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아 들어오자마자 이탈한다.
- 가설을 확인하고자 한다면: 특정 마케팅 채널을 통해 랜딩한 사용자들의 전환율이 다른 채널을 통해 랜딩한 사용자들에 비해 낮은지 확인한다.
- 가설이 확인되었다면 액션은: 해당 마케팅 채널의 광고 문구를 점검해보고, 페이지 내용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수정한다.
- 스크롤은 하지만, 90% 지점까지는 하지 않고 이탈한다.
- 그렇다면 가설은: 페이지 내용이 아래로 더 내려볼 만큼 충분히 흥미롭지 않다.
- 가설을 확인하고자 한다면: 어디까지 읽어보고 이탈하는지 확인해본다.
- 이어서 액션은: 많이 이탈하는 구간의 페이지를 개선한다.
- 다른 메뉴를 눌러본다.
- 그렇다면 가설은: 추가 정보가 필요하다.
- 가설을 확인하고자 한다면: 다른 메뉴를 눌러본 사용자들이 이후 최종 목적지까지 더 많이 도달하는지 확인해본다.
- 가설이 확인되었다면 액션은: 해당 메뉴에 포함된 내용을 랜딩 페이지에 추가한다.
- 스크롤을 하지 않고 이탈한다.
- 페이지 뷰 → 스크롤 전환율을 올리고자 한다면, 다음 시나리오들을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.
- 퍼널의 단계를 줄인다.
다만 실무에서는, 리소스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아래 순서대로 일을 하곤 한다.
1. 퍼널에 불필요한 단계가 있다면 없애기
2. 전환율이 떨어지는 구간이 있다면 개선하기
3. 유입량 자체를 늘리기
[데이터리안] 딜라이트룸(알라미) PO 서승환님 강연 인사이트
- 대부분의 사람들이 진입율은 생각하지 않고 진입 이후의 전환율만 올리려고 하는 경향이 있는데, 사실 진입률이 높지 않은 상황이라면 아무리 진입 대비 전환율을 높인다 한들 제품 전체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.
- 또한 진입률이 매우 낮은 상태에서 퍼널 전환율을 살펴봤자, 그 결과가 믿음직스럽다 할 수 없다. 진입률이 낮은 서비스를 굳이 찾아서 보러 온 유저는 아주 의지치가 높은 유저는 전체 유저를 대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.
- 그렇다면 진입률을 높이는 전략은?
- 홈 엔트리 전략: 그냥 노출량을 극대화
- 넛지 엔트리 전략: 뭔가 이 서비스를 필요로 할 것 같을 때 노출 (e.g. 결제 시점 전후로 친구 초대 할인 이벤트 창 띄우기)
- 진입률을 확보했다면, 진입 이후 전환율을 높이는 전략은?
- 퍼널 순서 변경
- 퍼널 개수 증대: 주로 퍼널 개수를 줄이려고 하는데, 사실 여정에 충분히 몰입할 수 있도록 돕는 화면을 추가한다면 오히려 전환율이 높아질 수 있다.
- 과감히 구멍 삭제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