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rchive
고속도로 구성요소 및 도로 서비스 수준 본문
728x90
고속도로 구성요소
- 기본 구간
엇갈림/합류/분류 차량의 영향을 받지 않는 구간
고속도로 부가차로(가/감속차로)가 없는 구간 - 엇갈림 구간
교통통제시설 도움 없이 두 교통류가 맞물려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엇갈리는 구간
유입연결로 → 유출연결로 혹은 합류 → 분류, 두 구간이 연속된 보조차로로 연결된 구간에서 발생
- 엇갈림 구간 영향권: 엇갈림이 시작되는 진입연결로 100m 상류지점부터 엇갈림이 끝나는 진출연결로 100m 하류지점까지의 구간 - 연결로 접속부
유입/유출 연결로가 고속도로 본선에 접속되는 구간
- 진입연결로 영향권: 연결로 접속부의 100m 상류지점으로부터 400m 하류지점의 구간
- 진출연결로 영향권: 연결로 접속부의 400m 상류지점으로부터 100m 하류지점까지의 구간
서비스수준 Level of Service
통행속도, 통행시간, 통행자유도, 안락감, 교통안전 등 도로의 운행 상태를 설명하는 개념
- A~F 6등급으로, A가 가장 좋고 F가 가장 안좋음
- 도착교통량이 통과교통량보다 많으면 차량 대기행렬이 형성되는데, F는 이런 상태를 나타냄
- 설계서비스수준으로는 C와 D가 사용됨
- 일반적으로 E와 F의 경계가 용량
서비스교통류율
- 주어진 시간 동안 주어진 도로 및 교통조건에서 해당 서비스수준을 유지하면서 도로나 차로의 일정한 구간 또는 지점을 통과하리라고 기대되는 교통류율
V/C 포화도
- 통과교통량 대 용량의 비
지체
- 균등지체 uniform delay: 신호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필연적인 지체,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신호주기를 줄이는 것뿐
- 초과지체 overflow delay: 교통혼잡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체
728x90